01. 실금 및 배변
----[ 문 제 점
]
------화장실을
구별하지 못함 성인용 기저귀 사용 경우 바닥에 실금하여 낙상의 위험성 있음
----[ 대처방법
]
------화장실 가까운
곳에 환자 침실을 두고 화장실을 알아보기 쉽게 문에 표시를 한다.
------글씨보다는
그림으로 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. 기저귀 간병 시는 침대를 사용하는 것이
------편리하며
환자가 낙상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매트리스만을 사용한다.
02. 수집 및 불결행위
----[ 문 제 점
]
------환경의 위생에
주의 요망 대소변, 오물로 인한 벽지 등 가구 손상
----[ 대처방법
]
------쓰레기통
등을 눈에 뜨이지 않게 보관한다. 청소가 쉬운 벽지 및 바닥재료 사용하며
------천으로 된
가구보다는 비닐, 인조 가죽으로 된 것을 사용한다.
03. 이식 및 과식 행동
----[ 문 제 점
]
------주위의 세제,
약물, 식물, 크레용들을 구별하지 못하고 먹음으로 오는 사고. 식사한 것을
------잊고 계속
먹을 것을 찾음, 소화기질환과 설사 등 배변 조절하지 못함으로 간병의 어려움.
----[ 대처방법
]
------쓰레기통
등을 눈에 뜨이지 않게 보관한다. 청소가 쉬운 벽지 및 바닥재료 사용하며
------천으로 된
가구보다는 비닐, 인조 가죽으로 된 것을 사용한다.
04. 목욕 거부
----[ 문 제 점
]
------목욕 시
거부 등 난폭한 행동으로 사고의 위험성 목욕탕에서 낙상으로 인한 골절,
기타 외상,
------온수에 의한
화상
----[ 대처방법
]
------목욕 환경이
가능한 따뜻한 분위기가 되도록 한다. 목욕탕 바닥재는 미끄럼방지 타일 또는
------고무타일을
쓰도록 한다. 수도꼭지는 온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(섭씨 40 도
이상으로
------돌릴 수
없는) 장치를 하도록 한다.
|